권위의 시작

Sermon  •  Submitted   •  Presented
0 ratings
· 57 views
Notes
Transcript

섬김, 사랑 (요 13:1-17)

요한복음 13장 1~17절
요한복음 13:1–17 NKRV
유월절 전에 예수께서 자기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 줄 아시고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시니라 마귀가 벌써 시몬의 아들 가룟 유다의 마음에 예수를 팔려는 생각을 넣었더라 저녁 먹는 중 예수는 아버지께서 모든 것을 자기 손에 맡기신 것과 또 자기가 하나님께로부터 오셨다가 하나님께로 돌아가실 것을 아시고 저녁 잡수시던 자리에서 일어나 겉옷을 벗고 수건을 가져다가 허리에 두르시고 이에 대야에 물을 떠서 제자들의 발을 씻으시고 그 두르신 수건으로 닦기를 시작하여 시몬 베드로에게 이르시니 베드로가 이르되 주여 주께서 내 발을 씻으시나이까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하는 것을 네가 지금은 알지 못하나 이 후에는 알리라 베드로가 이르되 내 발을 절대로 씻지 못하시리이다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너를 씻어 주지 아니하면 네가 나와 상관이 없느니라 시몬 베드로가 이르되 주여 내 발뿐 아니라 손과 머리도 씻어 주옵소서 예수께서 이르시되 이미 목욕한 자는 발밖에 씻을 필요가 없느니라 온 몸이 깨끗하니라 너희가 깨끗하나 다는 아니니라 하시니 이는 자기를 팔 자가 누구인지 아심이라 그러므로 다는 깨끗하지 아니하다 하시니라 그들의 발을 씻으신 후에 옷을 입으시고 다시 앉아 그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을 너희가 아느냐 너희가 나를 선생이라 또는 주라 하니 너희 말이 옳도다 내가 그러하다 내가 주와 또는 선생이 되어 너희 발을 씻었으니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 주는 것이 옳으니라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 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종이 주인보다 크지 못하고 보냄을 받은 자가 보낸 자보다 크지 못하나니 너희가 이것을 알고 행하면 복이 있으리라
1. 서론
요즘 라떼, 꼰대, 틀딱 이런 말들 많이 들어보셨죠? 어떨 때 쓸까요? 예를 들어보죠 자, 회사에서 부장님이 무슨 행사를 시켰는데 좀 과분해요. 그런데 그 이후에 하는 말이, 나때는 이런거 다 했어. 20대 때는 돌도 씹어 먹었는데~ 마음이 어떠세요? 존경스러우세요? 기꺼이 하고 싶으세요? 그 단어의 의미는 사실 좋은 의미는 아닙니다. 결국 지난 세대와의 차이 혹은 지난 세대의 권위에 대한 불복종으로 나타나는 말이죠.
중학교 때, 아스날 첼시. 아스날을 택했다. 그게 마음이 끌렸어요.
그렇다면,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 봅시다.
이제 여러분이 지도자가 되어야 하는데 다음 세대에게 어떻게 하실겁니까? ai, , 철학, 심리학, 이단, 종교 없음, 무신론, 자유주의 등 새로워지는 세대에서 어떻게 꼰대나 라떼가 아니라 권위를 세우시겠어요? 오늘 본문 말씀을 통해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진정한 권위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2. 본문
본문을 보시죠.
본문은 예수님께서 잡히시기 직전에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고 내가 씻어준 것처럼 너희도 서로 씻어주라고 말씀하신 내용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그러면 듣고 옆 사람한테 잘 해야겠다. 라고 다짐하는 교훈적인 의미일까요?
1절에 보시면 지금 어떤 상황입니까? 예수께서 자기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 줄 아셨다고 말씀합니다. 유언한다면 무슨 말을 하실 것 같으세요? 진짜 중요한 말만 하겠죠. 이 이후에 하실 행동은 자신의 십자가 죽음과 연결된 모습입니다. 배신이 암시된 죽음을 앞둔 이 상황에서 섬김의 모범을 보이시는 세족식을 기록합니다. 이 세족식은 고난 받는 종으로서 얘수님의 정체를 보여줍니다. 십자가를 지셔야 우리를 깨끗하게 하시는 즉, 고난을 사랑과 섬김의 행위로 이기실 모습입니다.
팔레스타인 지방은 거칠고 흙먼지가 많습니다. 또, 제자들이 신었던 2천년전 신발은 먼지가 다 들어가는 것인데 씻는 것이죠. 예수님께서는 직접 그 발을 씻어주시며 내가 너희를 씻어주지 않으면 나와 관계가 없다.라고 말씀하십니다. 귄위의 시작은 첫 번째 , 경험된 사랑입니다. 먼저 사랑의 권위를 경험해야 합니다.
a. 경험된 사랑
여러분이 가셔야할 길, 주님이 먼저 자신을 보여주시기까지 예수를 아는 지식은 조금도 없었으며 죄밖에 몰랐습니다. 그런 죄의 종으로 사는 우리에게 주님이 먼저 다가오셔서 본을 보이셨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자신과 같이 하라고 말씀하십니다. 꼰대도, 라떼도 아니고 예수님께서 가지신 권위, 우리가 기꺼이 순종하게 만드는 그 권위는 바로 사랑입니다. 우리는 명령을 받았고, 푯대를 향하여 경주를 시작한 자들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우리만 보는 인생이 아닙니다. 나 하나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예수께서 기꺼이 지고간 그 십자가 길을, 후에 제자들이 갑니다. 그리고 그들을 통해 복음이 퍼져나갑니다. 그들의 사도권 때문일까요? 사도의 권위가 있으니까 그랬을까요? 베드로를 보세요. 누구보다도 라떼라고 하면 베드로만한 자가 어디있습니까. 예수님 지금 눈 앞에 안계시죠. 백성들 무지하죠. 물 위 걸어본 사람? 예수님 빼고 베드로 밖에 없습니다. 귄위를 내세워 백성들 복종할 수 있고 지도자가 될 수 있으며, 돈을 벌 기회로 삼을 수도 있었겠죠. 그러나 베드로는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사도행전 3장에선 예수께서 승천하시고 베드로가 나면서 부터 걷지 못하는 사람을 고치는 사건이 기록됩니다. 그리고 고침 사건을 본 사람들은 그 베드로를 우상처럼 섬길 준비가 되어있었습니다. 모든 백성이 크게 놀라며 솔로몬의 행각에서 베드로를 붙잡았다라고 말합니다. 그 병 고치는 사건 이후 배드로는 이렇게 말합니다. 사도행전 3장 : 12 -15.
[행3:12-15]
12 베드로가 이것을 보고 백성에게 말하되 이스라엘 사람들아 이 일을 왜 놀랍게 여기느냐 우리 개인의 권능과 경건으로 이 사람을 걷게 한 것처럼 왜 우리를 주목하느냐
13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 곧 우리 조상의 하나님이 그의 종 예수를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너희가 그를 넘겨 주고 빌라도가 놓아 주기로 결의한 것을 너희가 그 앞에서 거부하였으니
14 너희가 거룩하고 의로운 이를 거부하고 도리어 살인한 사람을 놓아 주기를 구하여
15 생명의 주를 죽였도다 그러나 하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그를 살리셨으니 우리가 이 일에 증인이라
베드로는 주님을 부인했지만, 예수께서 찾아오셔서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물으시며 회복시키십니다. 그리고 베드로는 내 양을 치라 명령하신 그 말씀을 따라갑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경험한 베드로는 자신을 높이지않고 예수께서 걸어가신 그 십자가의 길을 걸어갑니다. 그가 순종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일까요? 예수께서 승천하시고도 주님의 권위만 높일 수 있었던 것은 , 바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먼저 가신 사랑의 권위가 먼저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랑하는 전도사님들, 지금 내가 느끼는 에수님의 권위는 어느 정도인가요? 혹시나 주님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작아지셨다면 나를 구원하시고 내 죄를 대신지시며 성령을 통해 나를 끌어가시는 주님의 사랑 앞에 다시 잠잠히 시간을 내어드리고 주님 앞에 서시기 바랍니다. 잘 하고 계셨더라도, 넘어질까 조심하며 주님이 인도하신 사랑을 바라보는 전도사님들 되시기 바랍니다. 사랑하라고 부르셨지만, 사랑하지 못할 때 성령께서 우리를 인도해주십니다. 그 인생에서 외롭더라도 세상이 몰라준다고 할지라고 주님께서 본을 보여주신 그 사랑에서 오는 권위를 생각하며 예수님을 바라보세요. 그리하여 하나님께서 이루어가시는 하나님의 섭리가운데 성령의 인도하심을 구하여 주인의 귄위를 따라가는 사랑의 사역자들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 본문 2절 말씀에서도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시니라. 귄위의 시작은 경험된 사랑입니다. 사랑에서 존경이 나오고, 기꺼이 가는 그 길을 갈 수 있습니다. 그럼 예수님께서는 사랑을 경험한 자기 사람들이 어떻게 하시기를 바랄까요?
b. 실천하는 사랑
두번째, 실천하는 사랑입니다.
15절을 읽어보시죠.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 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예수님과 같은 길을 가기를 바라십니다. 죽음 이전에 모인 제자들은 특별한 무리였습니다. 1절에 자기 사람들이라는 뜻은 특별한 무리를 뜻합니다. 그리고 16절에 보냄을 받은 자가 대부분의 번역처럼 사도로 번역되진 않았지만, 아포스톨로스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즉, 사도, 보냄을 받은 자라는 것이죠. 그리고 이제 특별한 제자들에게 그 사명을 감당하게 하시며 그 사랑을 실천하기를 바라십니다.
아까 ai, 무신론, 종교없음의 시대를 살아가는 다음세대에 대한 이야기를 했죠? 결국 그들이 우리가 앞으로 이해하고 품어야할 세대이고, 우리는 알지 못하지만, 주님께서 가기를 바라시는 길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렇기 때문에 우리에게 양들을 맡기시면서 다음 세대를 부탁하시면서 친히 보여주셨습니다. 막막하니? 그 길을 가라.
사도 바울의 시대도 비슷했습니다. 전도 여행을 하며 교회를 개척했지만, 음행, 당 짓는 싸움, 논쟁이 끊이지 않았죠. 심지어 2000년이 지난 지금 소아시아 였던 터키 지역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이슬람 문화권이지 않습니까? 그런데, 성경에서의 바울에 대한 하나님의 평가는 무엇입니까? 이방인을 위해 택한 나의 그릇, 충성된 종입니다.
나는 주님 앞에서 나의 길을 간다. 나의 사역, 나의 가정, 나의 학업 가운데에 나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맡기신 것 보고 가는 겁니다. 여러분 안에 끝까지 사랑하시는 본을 보이셔서 그 사랑을 알게 하신 주님이 계십니까? 그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요한복음 13 :13-14 같이 읽으시죠.
요한복음 13:13–14 NKRV
너희가 나를 선생이라 또는 주라 하니 너희 말이 옳도다 내가 그러하다 내가 주와 또는 선생이 되어 너희 발을 씻었으니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 주는 것이 옳으니라
내가 주와 선생이 되어 너희 발을 씻었으니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 주는 것이 옳으니라,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 같이 너희도 해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사랑하는 전도사님들, 주 앞에 섰습니다. 그리고 우리 뒤에는 따라오는 영혼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이 길을 가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본문 2절 , 가룟 유다에 사단이 예수을 팔 마음을 집어 넣은 것처럼 계속된 유혹도 있습니다.
낙심될 때가 있고, 마음이나 현실이 고단하며, 나의 성향과 주님이 요구하시는 것이 충돌하고, 죄의 유혹이 계속 됩니다. 그럴 때 다시 한 번 예수와 십자가를 바라보며 주님을 붙잡읍시다. 그리하여 죄의 유혹에 완고해지지 않도록 몸을 쳐서 복종시킵시다. 그래서 나중에 가룟 유다처럼 자기 이기적 생각으로 살아가는 제자가 아니라. 죄의 유혹이 오면 우리의 산성되시는 주님께로 피하는 충성된 종이 되기를 바랍니다.
히브리서 3:13–14 NKRV
오직 오늘이라 일컫는 동안에 매일 피차 권면하여 너희 중에 누구든지 죄의 유혹으로 완고하게 되지 않도록 하라 우리가 시작할 때에 확신한 것을 끝까지 견고히 잡고 있으면 그리스도와 함께 참여한 자가 되리라
오직 오늘이라 일컫는동안에 매일 피차 권면하여 너희 중에 누구든지 죄의 유혹으로 완고하게 되지 않도록 하라, 우리가 시작할 때에 확신한 것을 끝까지 견고히 잡으면 그리스도와 함께 참여한 자라 되리라.
예수님께서 발을 씻기 실때 자기 마음을 아는 사람이 있었을까요? 아무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 특별한 제자들이 지금은 자기 마음을 아무도 모르지만, 그때도 발을 씻기고 닦으셨고 십자가의 길을 가셨던 것처럼, 우리도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가야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는 우리만의 인생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것인 인생을 살기 때문입니다. 히브리서 13 :7 보실까요? 하나님의 말씀을 너희에게 일러주고 너희를 인도하던 자들을 생각하며 그들의 행실의 결말을 주의하여 보고 그들의 믿음을 본받으라.
히브리서 13:7 NKRV
하나님의 말씀을 너희에게 일러 주고 너희를 인도하던 자들을 생각하며 그들의 행실의 결말을 주의하여 보고 그들의 믿음을 본받으라
10년, 20년 뒤에 누군가를 낙심시키는 지도자가 아니라, 베드로처럼, 사도 바울처럼 , 예수님처럼 우리의 행실의 결말을 보고 누군가의 본받을 자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러기 위해 날마다 자신을 쳐서 주님 앞에 복종시키세요. 누군가가, 어떤 믿음의 사람이, 혹은 불신자라도. 그래도 저 분이 있어서 내가 갔어. 다른 교회에 실망했는데, 그래도 저분이 주님을 붙잡는 것보며 나도 힘을 얻었어.라고 고백할 수 있는 그런 권위있는자, 믿음의 본을 보여주는 자 되시길 부탁드립니다. 오직 사랑으로 권위를 세우십시오. 예수님을 따라 성령의 인도하심 따라, 주님께 순종하며, 낮아지는 길을 가는 전도사님들 되길 바랍니다. 기도하겠습니다.
Related Media
See more
Related Sermons
See more
Earn an accredited degree from Redemption Seminary with Log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