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제, 소제, 화목제
Notes
Transcript
들어가는 말
들어가는 말
https://www.youtube.com/watch?v=ZoLAijz32wQ 열차의 승객을 살리기 위해 아들을 희생시킨 이야기(모스트)
번제
번제
3 그 예물이 소의 번제이면 흠 없는 수컷으로 회막 문에서 여호와 앞에 기쁘게 받으시도록 드릴지니라
4 그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할지니 그를 위하여 기쁘게 받으심이 되어 그를 위하여 속죄가 될 것이라
5 그는 여호와 앞에서 그 수송아지를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가져다가 회막 문 앞 제단 사방에 뿌릴 것이며
6 그는 또 그 번제물의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뜰 것이요
7 제사장 아론의 자손들은 제단 위에 불을 붙이고 불 위에 나무를 벌여 놓고
8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뜬 각과 머리와 기름을 제단 위의 불 위에 있는 나무에 벌여 놓을 것이며
9 그 내장과 정강이를 물로 씻을 것이요 제사장은 그 전부를 제단 위에서 불살라 번제를 드릴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하나님께서는 약속의 땅으로 이동하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오늘 이 말씀을 듣는 우리에게 번제에 관하여 말씀하고 계심.
번제라는 태워 제사를 드리는 말.오늘 우리 본문에서 어떻게 말씀하시는지 보고 함.
예물 : 집에서 기르는 것. 즉 가축
예물 : 집에서 기르는 것. 즉 가축
어떤 종류 : 수송아지, 숫양, 숫염소, 비둘기 등이 사용 됨. 이 가축은 흠 없는 즉 신체적으로 온전해야 함.
어떤 종류 : 수송아지, 숫양, 숫염소, 비둘기 등이 사용 됨. 이 가축은 흠 없는 즉 신체적으로 온전해야 함.
어디에서 드려졌는가? : 지정된 장소, 곧 회막 문에서 드려짐.
어디에서 드려졌는가? : 지정된 장소, 곧 회막 문에서 드려짐.
제물을 바치는 사람은 어떤 행동을 하나?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 함. 제사장이 특정 기능을 수행할 때마다 반복함.
제물을 바치는 사람은 어떤 행동을 하나?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 함. 제사장이 특정 기능을 수행할 때마다 반복함.
이렇게 드려진 제물에 여호와의 반응 : 향기로운 냄새. 즉, 희생 제물을 받으심
이렇게 드려진 제물에 여호와의 반응 : 향기로운 냄새. 즉, 희생 제물을 받으심
번제죄는 제물을 바치는 자의 속죄로, 자발적으로 드리는 제사. 일반적으로 생활하면서 의도하지 않은 죄에 대한 속죄를 위함.
속죄는 죄를 덮거나 무효로 하는 것으로, 이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흘림을 통하여 나타남.
구약에서 동물의 필 흘림은 ‘회개’, ‘하나님께 돌이킴’, ‘하나님의 용서’를 의미함.
성경에서 나타난 번제의 예 : 아벨, 노아, 아브라함
창세기 4:4 “4 아벨은 자기도 양의 첫 새끼와 그 기름으로 드렸더니 여호와께서 아벨과 그의 제물은 받으셨으나”
창세기 8:20 “20 노아가 여호와께 제단을 쌓고 모든 정결한 짐승과 모든 정결한 새 중에서 제물을 취하여 번제로 제단에 드렸더니”
창세기 22:2 “2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 아들 네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서 내가 네게 일러 준 한 산 거기서 그를 번제로 드리라”
우리가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며 나아올 때 드리는 예물은 어떻게 드리고 있는가? 속죄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느끼며, 회개와 돌이킴과 용서에 대해 생각하며 드리고 있는가?
소제
소제
1 누구든지 소제의 예물을 여호와께 드리려거든 고운 가루로 예물을 삼아 그 위에 기름을 붓고 또 그 위에 유향을 놓아
2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그 고운 가루 한 움큼과 기름과 그 모든 유향을 가져다가 기념물로 제단 위에서 불사를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3 그 소제물의 남은 것은 아론과 그의 자손에게 돌릴지니 이는 여호와의 화제물 중에 지극히 거룩한 것이니라
번제와 동일하게 하나님께 태워서 드림.
특징
특징
제단 위에 불살라짐을 통하여 번제와 동일하게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의 하나님을 알 수 있음.
제단 위에 불살라짐을 통하여 번제와 동일하게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의 하나님을 알 수 있음.
보리나 밀과 같은 다양한 곡물의 수확의 ‘처음 익은 것’으로 하나님께 드림.(레위기 2: 14-16 “14 너는 첫 이삭의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거든 첫 이삭을 볶아 찧은 것으로 네 소제를 삼되 15 그 위에 기름을 붓고 그 위에 유향을 더할지니 이는 소제니라 16 제사장은 찧은 곡식과 기름을 모든 유향과 함께 기념물로 불사를지니 이는 여호와께 드리는 화제니라” )
보리나 밀과 같은 다양한 곡물의 수확의 ‘처음 익은 것’으로 하나님께 드림.(레위기 2: 14-16 “14 너는 첫 이삭의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거든 첫 이삭을 볶아 찧은 것으로 네 소제를 삼되 15 그 위에 기름을 붓고 그 위에 유향을 더할지니 이는 소제니라 16 제사장은 찧은 곡식과 기름을 모든 유향과 함께 기념물로 불사를지니 이는 여호와께 드리는 화제니라” )
평소에, 자발적으로 드림. 곡물은 이스라엘 백성의 양식이었음. 매일의 삶이 하나님께 받은 선물임을 기억나게 하는 것.
평소에, 자발적으로 드림. 곡물은 이스라엘 백성의 양식이었음. 매일의 삶이 하나님께 받은 선물임을 기억나게 하는 것.
화목제
화목제
레위기에서 지정하신 모든 제사 가운데, 유일하게 제물을 바치는 자도 먹을 수 있는 제사.
16 그러나 그의 예물의 제물이 서원이나 자원하는 것이면 그 제물을 드린 날에 먹을 것이요 그 남은 것은 이튿날에도 먹되
17 그 제물의 고기가 셋째 날까지 남았으면 불사를지니
18 만일 그 화목제물의 고기를 셋째 날에 조금이라도 먹으면 그 제사는 기쁘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 드린 자에게도 예물답게 되지 못하고 도리어 가증한 것이 될 것이며 그것을 먹는 자는 그 죄를 짊어지리라
이 제사의 목적은 하나님과 화해로 인간이 하나님과 친교를 누릴 수 있게 하려는 것임.
이 제사의 목적은 하나님과 화해로 인간이 하나님과 친교를 누릴 수 있게 하려는 것임.
우리가 드려지는 예배가 하나님이 친교의 식사를 함게 나누자고 예배자들을 초대한 것임을 기억해야 함.
구속사
구속사
번제는 예수그리스도의 온전한 희생.
번제는 예수그리스도의 온전한 희생.
소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무흠과 온전한 충성.
소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무흠과 온전한 충성.
화목제는 예수 그리스도와 우리와 교제의 온전한 길.
화목제는 예수 그리스도와 우리와 교제의 온전한 길.
☞ 구약시대 각종 제사를 통해 피흘림(희생, 죽음) 없이는 죄사함이 없음을 알 수 있음. 즉 인간이 한나ㅣㅁ께 나아가기 위해서는 피흘린 제사 제물이 필요하고(히브리서 9:22 “22 율법을 따라 거의 모든 물건이 피로써 정결하게 되나니 피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 ) 이는 십자가 보혈로써 범죄한 인류에게 구원의 길을 열어놓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은총 없이는 누구도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없음을 예시 함.
결론
결론
구약시대 각종 제사들은 범죄한 인생이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으며, 하나과 교제를 나누며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돌릴 수 있는 거룩한 예법이었음.
그런 점에서 구약시대 제사는 신약시대에, 지금의 예배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 될 수 있음.
우리가 어릴 때부터, 매주마다 드리는 예배가, 단순한 행동의 반복이 되지 말아야 하는 것은 각각의 제사의 의미를 잘 알고, 그 의미속에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기억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