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설교
엘리야-엘리사 내러티브 • Sermon • Submitted • Presented
0 ratings
· 12 viewsNotes
Transcript
(도입) 자녀의 성적 - 이 모든 일은 자녀가 잘되기 위해서야라는 ‘우상' : 실제로 부모 자신을 위해서이다. 내 안에 ‘우상’은?
티쳐스 1화
1 드디어 엘리야와 아합의 만남
(왕상 18:17) 괴롭게 하다 - ‘사람이나 상황을 방해하다. 문제를 가져오다’
엘리야를 보는 아합의 관점 : 이스라엘에게 문제를 가져온 인물은 ‘엘리야'이다.
이스라엘의 문제는 ‘가뭄’ - 그동안 번영의 시대를 저물고 몰락의 시대로 가고 있는 이스라엘의 현상황
반면 오바댜의 관점은? (왕상 18:7) 내 주 엘리야여
관점 : 어떻게 보느냐? (세계관)이 중요하다.
아합의 자기 중심성 : 인간은 자기 중심성을 가지고 본다.
2 이스라엘을 괴롭게 한 엘리야?
엘리야의 선포 이후 ‘가뭄’으로 인해 고통받는 이스라엘
가뭄 이 전 아합의 시대는 이스라엘의 번영의 시기 : 경제적, 군사적 번영
(질문) 번영이 ‘복’일까? ‘복'은 아니다!
번영신학, 긍정신학
(예> 번영신학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5중 복음으로 해석되었다. 번영이 축복이라는 해석 한국을 넘어 세계 제1의 교회 (모이는 숫자)
그러나 과거에는 통했던 메세지가 지금은 통하지 않는다. 과거 고도성장시대에서 지금은 마이너스 성장시대 - 기독교의 메세지는 틀렸다. 아니 지금 시대에는 맞지 않는 구닥다리이다.)
젊은 세대의 탈교회 - 손해보는 장사 : 과거에는 교회와 사회의 고도성장 (번영신학이 통하던 시기)에서 마이너스 성장의 시대… 결국 신앙의 이유는 자신의 유익을 위한 것이었다.
(예> 그러나 여전히 경제적 성장 - 경제적 문제 해결을 간증하고 자랑하는 성도 : 왕의 제정
(생각해보기) 인간의 고통 : 특히 경제적 고통을 해결해주는 것이 복음?
3 이스라엘이 당하는 고통의 이유를 찾다!
(왕상 18:18) 이스라엘을 괴롭게 한 것(이스라엘에 문제를 가져온 인물)은 엘리야가 아니라 아합과 아합의 아버지(오므리-사마리아 천도)이다.
근본적이유(고통의 이유) : 여호와의 명령을 버리고 바알을 따랐기 때문이다.고통은 죄의 결과이다. ‘죄’의 시작을 알려주는 창3장을 보면 하나님을 버리고 자기 자신을 ‘왕의 자리'에 앉힌 것을 죄라고 한다. 여호와의 자리에 바알을 앉힌 이스라엘, 즉 자기 자신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
4 알아듣지 못하는 이스라엘에게 실물 교육이 필요하다. (왕상 18:19) 바알과 아세라 선지자들은 갈멜산으로 모여라! 너희의 죄를 보여주겠다. 고통의 원인을 알려주겠다.
(왕상 18:20) 흔쾌히 수락하는 아합. 이유? 갈멜산은 바알의 본거지이다.
(생각해보기) 아합은 진짜로 바알을 하나님으로 믿고 있었는가? 바알의 승리를 예상하고 있었는가? (이단 지도자 - 진짜 자신을 하나님으로?)
5 양다리 신앙
(왕상 18:21)
이스라엘 백성은 바알과 하나님 사이에 머뭇거리고 대답을 하지 않는다. 놀라운 모습. 왜냐하면 이스라엘 백성은 바알 편이 아니었다. 바알과 하나님 사이에서 머뭇거리고 있다.
‘머뭇거리다’ - 절뚝거리다는 뜻으로 다리를 다치고 제대로 걷지 못하는 사람의 모습을 보여준다. (공동) 양다리를 걸치고 있다. 머뭇거리는 이유 (대답하지 않는 이유) 풍요의 신 ‘바알’로 인해 풍요를 누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마태복음 6:24) 겸하여 섬기지 못한다. 그렇다면 겸하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은? 겸한다는 것은 우상숭배를 하고 있다는 뜻이다.
‘유익’을 계산한 이스라엘 백성들 : ‘종교’ 혹은 ‘신앙’을 통해 내가 얻은 유익은 무엇인가? 번영
(생각해보기) 나의 신앙은? 신앙은 ‘유익’ - ‘도구'? 목회나 교회 사역 역시도....
여호수아 24 (여호수아의 고별설교) : 여호수아의 선택과 요청
이스라엘 백성의 자신감 있는 선택과 실패
실패의 이유? ‘가나안' - 좋은 것에 대한 관점 : 세상적으로 좋은 것이 좋은 것이다.
가나안의 발달된 문명 그것을 따라하고 따라가고 싶은 욕망 : 이스라엘은 (유목민) 거지꼴
(결론) 실패 - 여전한 우상숭배로 마무리되는 이스라엘 백성
끝까지 참고 기다려주신 하나님 아버지 : 우리가 죄인되었을 때 우리를 위해 오신 예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