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은 우리의 끝에서 일하십니다.

교직원경건회  •  Sermon  •  Submitted   •  Presented
0 ratings
· 27 views
Notes
Transcript
성경본문: 요한복음 11:5-7(신약 165쪽)
설교제목: 주님은 우리의 끝에서 일하십니다.
1. 찬송가: 151장, 주 달려 죽은 십자가
📷
2. 성경봉독: 요한복음 11:5-7(신약 165쪽)
5 예수께서 본래 마르다와 그 동생과 나사로를
사랑하시더니
6 나사로가 병들었다 함을 들으시고
그 계시던 곳에 이틀을 더 유하시고
7 그 후에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유대로 다시 가자 하시니
3. 말씀나눔: 주님은 우리의 끝에서 일하십니다.
“팬인가, 제자인가”라는 책으로 유명한 카일 아이들먼(Kyle Idleman) 목사님이 쓰신 다른 책을 근래에 읽었습니다. “나의 끝, 예수의 시작”이란 제목의 책입니다. 이 책의 시작에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카일 아이들먼 목사님이 책을 쓰는 과정에서 어떤 남자 분과 통화했습니다. 그는 몇 주 전에 18개월 된 그의 아들을 잃었습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그 일은 그가 자신의 차를 후진하다가 일어난 비극적인 사고였습니다. 이 분과 통화한 카일 아이들먼 목사님은 도무지 무슨 말로 위로를 해야할지 몰라 긴 침묵 속에 있다가 그에게 한가지 질문을 합니다.
이렇게 질문합니다. “혹시 제게 특별히 더 하고 싶은 말씀이 있는 건가요?” 스스로도 이 질문이 적절하지 않다는 건 알았지만,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불행한 일이 있고서 몇 주가 지나서 연락한 것을 보면, 무슨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말입니다. 카일 아이들먼 목사님의 예상처럼 그 분은 놀라운 이야기를 했습니다. 자신은 사실 가끔 의무감으로 교회에 얼굴을 비췄던 사람인데 이번 일을 겪으면서 절실한 심정으로 하나님께 나아가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렇게 고백합니다. ‘모든 것을 잃은 것 같은 이 순간에 난냉처음으로 예수님을 만났어요. 이게 이상한 일인가요?’ 이이야기를 듣고 카일 아이들먼 목사님은 그 분과 가족들을 위해 기도해주고 통화를 마쳤다고 합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제가 읽은 ‘나의 끝, 예수의 시작’이라는 책의 제목이 정해졌다고 합니다. 물론 보다 직접적으로는 그 이야기를 듣고 페이스 북에서 이런 글을 올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ㅇㅇㅇ 할 때. 예수님을 만났다’ 여기에 빈 칸을 채워달라는 요청을 했습니다. 여러 지인들은 다양한 답을 했는데, 그 중에서 모든 이야기를 종합해주는 답이 있었습니다. ‘나의 끝에 이르렀을 때 비로서 나에게 예수가 실재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책의 제목이 ‘나의 끝, 예수의 시작’으로 지어졌습니다.
저는 책을 읽으면서 생각했습니다. 제목이 신앙생활에 핵심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신앙생활은 예수를 구주로 영접하는 것입니다. 이는 내가 주인되어 사는 삶이 아니라 하나님을 주인으로 모시고 사는 삶입니다. 그것을 ‘나의 끝, 예수의 시작’이라는 문장이 잘 요약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성경의 여러 이야기가 그것을 보여준다고 여겨집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읽은 성경구절도 그러하다 생각합니다.
오늘 성경구절에 나오는 것처럼 예수님은 나사로를 사랑하셨고 좋은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마르다와 마리아 이야기를 통해서도 알 수 있지만, 나사로의 가족은 예수님을 집에 초대하여 식사를 대접하고 말씀을 들었습니다. 그만큼 예수님과 친밀한 관계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당시 문화에서 식사를 같이 한다는 것은 친밀하고 특별한 관계에 놓여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니 말입니다. 그런데 오늘 우리가 읽은 성경 구절에서 보이는 예수님의 모습은 뜻밖입니다.
왜냐하면, 나사로가 병이 들었다는 이야기를 듣고서도 머물던 곳에 이틀이나 더 있다가 나사로에게 갑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나사로와 예수님과의 관계를 생각하면 이러한 예수님의 모습은 이상하다 여겨집니다. 사랑과 긍휼이 많으신 분이신데, 나사로에게는 왜 더디가셨을까요? 요한복음 11장 4절에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사로의 ‘이 병은 죽을 병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함이고 하나님이 아들이 이로 말미암아 영광을 받게하기 위함이라고’ 말입니다. 줄여 말하면 예수님이 이틀을 더 머무신 까닭은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이 이야기는 죽어서 무덤에 묻힌 나사로를 살리는 놀라운 사건으로 기록됩니다. 저는 이 사건을 통해 보게 됩니다. 죽어서 이미 손을 쓸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린 우리임에도 예수님은 그로부터 일하시고 역사를 새롭게 세우십니다. 달리보면, 우리가 내 생각과 욕심에 사로잡혀 있을 때 하나님은 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하나님께 나아올 때 비로소 하나님이 일하십니다.
바라건대, 우리가 언제나 주의 일을 할 때, 하나님의 일하심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기 위해 먼저 우리의 고집을 내려놓고 주님이 도움을 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하여 오늘도 놀라운 주님의 역사를 경험하는 우리 모두가 될 수 있기를 간절히 간절히 축원합니다.
기도합니다.
Related Media
See more
Related Sermons
See more
Earn an accredited degree from Redemption Seminary with Log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