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개오의 고백』

Sermon  •  Submitted   •  Presented
0 ratings
· 2 views
Notes
Transcript
오늘 우리에게 주시는 살아계신 하나님의 말씀은 [눅 19:1-10
Luke 19:1–10 NKRV
1 예수께서 여리고로 들어가 지나가시더라 2 삭개오라 이름하는 자가 있으니 세리장이요 또한 부자라 3 그가 예수께서 어떠한 사람인가 하여 보고자 하되 키가 작고 사람이 많아 할 수 없어 4 앞으로 달려가서 보기 위하여 돌무화과나무에 올라가니 이는 예수께서 그리로 지나가시게 됨이러라 5 예수께서 그 곳에 이르사 쳐다 보시고 이르시되 삭개오야 속히 내려오라 내가 오늘 네 집에 유하여야 하겠다 하시니 6 급히 내려와 즐거워하며 영접하거늘 7 뭇 사람이 보고 수군거려 이르되 저가 죄인의 집에 유하러 들어갔도다 하더라 8 삭개오가 서서 주께 여짜오되 주여 보시옵소서 내 소유의 절반을 가난한 자들에게 주겠사오며 만일 누구의 것을 속여 빼앗은 일이 있으면 네 갑절이나 갚겠나이다 9 예수께서 이르시되 오늘 구원이 이 집에 이르렀으니 이 사람도 아브라함의 자손임이로다 10 인자가 온 것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려 함이니라
=========================
오늘 말씀의 제목은 “삭개오의 고백”라는 제목으로 함께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
📷 삭개오는 어떤 사람이었는가?
국경 도시인 여리고에는 세관이 있었습니다. 또한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 중 하나였고, 유대에서 가장 비옥한 지역에 있으며 헤롯 왕궁과 많은 부유한 제사장 가문의 거주지가 있었기 때문에 다른 세금 수입도 많았을 것입니다.
"수석" *세금 징수관은 판매세와 관세를 계약하고 그 밑에 징수원을 고용하는 사람이었을 것입니다. 이런 역할을 감안할 때 삭개오는 속이지 않고도 부자가 될 수 있었지만, 어쨌든 속임수를 쓴 것으로 보입니다
=========================
삭개오의 이야기 전에 18장에 ‘부자관리’의 이야기가 언급된다. 삭개오는 19장이다.
이 둘은 둘 다 ‘부자’라는 설정이 되어있다.
한 사람은 영생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계명을 다 지켰던 사람이었다.
이 사람은 어릴 적부터 계명을 다 지켰다. 그리고 한 가지 부족한 것에 대해서 예수님께서 지적하신다. 가난한 자들에게 소유를 나누라는 것이었다.
‘부자관리’는 근심하며 예수님 곁을 떠난다.(사랑스럽게 여기심) - 제자로의 초대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
-> 부자관리는 ‘계명’을 지키고 있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가난한 자들(당시 시대에 고아, 과부)를 구제해야하는 계명이 있었다.
그러한 구제의 계명을 어기고 있는 것이다.
=========================
-> 결정적으로 구원에 해석을 자기 자신이 지키고 있는 계명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유대적 구원관이었다. 유대적인 사고로 봤을 때, ‘부자관리’는 구원에 이를 수 있는 사람이었다. 이 ‘부자관리’ 자신은 구원 받을 것이라는 어느 정도 확신을 가지고 예수님 앞에 온 것이다.
-> 결론적으로, 예수님은 ‘부자관리’에 대해서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기가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해서 말씀하신다. -> 물질의 소유의 주인은 ‘하나님’인 걸 인정못하는 것.
=========================
또 한사람인 ‘삭개오’는 예수님이 어떠한 사람인가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예수님을 보러 왔다.
이 둘은 부자였지만, 한 사람은 근심하여 돌아갔고,
또 다른 한 사람(삭개오)은 소유의 절반을 가난한 자들에게 속여 빼앗은 것은 네 갑절로 갚겠다고 말한다.
=========================
📷 [삭개오의 회개의 내용] - 속여서 빼앗은
삭개오는 자신의 권한으로 누군가를 투옥할 수는 없었지만, 허위 신고를 통해 그러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었으며, 따라서 그가 원한다면 자신의 요구를 협박하고 확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을 것입니다. 삭개오가 배상하겠다는 약속은 그의 사무직 범죄가 다른 종류의 절도 범죄와 마찬가지로 심각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 단순하게, 빼앗은 것을 돌려주는 행위가 아니라, 이러한 일들이 다른 종류의 절도 범죄와 동일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인정했다는 사실이다.
=========================
*** 누가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었는가? [유대적 사고의 패러다임의 전환]
1) ‘부자 관리’2) ‘삭개오’는 굉장한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표면상으로 ‘부자 관리’가 왜 구원에 받지 못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지만,
그런데, 이 둘은 너무 큰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1) ‘부자 관리’는 단순히 돈에 매여있는 사람이 아니라, 더 심각한 것을 가지고 있었다.
-> a) 가난한 자들을 위한 구제에 계명을 어기고,(고아와 과부)
b) 물질에 주인이 하나님이심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2) ‘삭개오‘는 자신의 과거에 대해서 철저한 인식과 회개가 담겨져 있다.
회개는 실천하는 것이다. 내가 속여 빼앗은 것에 대해 갑절로 갚는 다는 것이다.
=========================
-> 예수님이 가르쳤던 하나님 나라에 합한 자들은
계명을 철저하게 지키는 자들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 나와 회개하는 자들이라는 사실이다. 회개하는 자들이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는 것이다.
-> 계명의 지킴보다 믿음으로 결단한 회개의 고백인 것이다.
=========================
삭개오의 고백은 ‘회개의 고백’이었던 것이다. 진정한 회개는 우리 안에 양심이 예수님 앞에 지적 받기 시작했던 것이다.(삭개오는 속여 빼앗은 것에 찔림을 느낀 것이다) 그리고 행동으로 옮김.
=========================
그렇다면, 누가 아브라함의 자손이 될 수 있는가?
진정한 회개의 고백을 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양심에 지적을 받았다면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인 것이다.
[결론]
-> 진정한 고백(회개)을 한 자들에게(삭개오처럼) 그런 자들에게 예수님이 거하시고 유하신다고 하신다.
Related Media
See more
Related Sermons
See more
Earn an accredited degree from Redemption Seminary with Log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