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하15:23-38 새벽설교
Sermon • Submitted • Presented
0 ratings
· 5 viewsNotes
Transcript
오늘 본문은 이스라엘 역사의 막바지 왕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므나헴의 아들 브가히야, 반란을 일으켜 왕위에 오른 베가, 역시 반란을 일으켜 왕위에 오른 호세아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말기에는 반란과 학살이 난무하였습니다.. 이러한 난국이 펼쳐지게 된 원인은 강대국 앗수르의 입김이 작용하면서 친앗수르파와 반앗수르파가 권력 투쟁을 별였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지파간의 갈등까지 겹치면서 끊임없이 반란이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유다에서는 안정적인 왕위 계승이 계속 이어지게 되는데 웃시야왕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요담이 유다왕이 되었습니다. 이 요담은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을 행한 왕이었고, 여호와의 성전 윗문을 건축한자입니다.
먼저 오늘 본문에서는 반복해서 계속 죄를 짓는 북이스라엘 왕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참으로 답답한 모습입니다.
본문을 보면 북이스라엘 왕 3명이 소개되는데, 브가히야와 베가, 호세아 입니다. 그런데 이 왕에 대한 평가는 브가히야와 베가는 24절,28절로써“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로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한지라”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호세아는 베가를 쳐서 죽이고 대신하여 왕이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북 이스라엘 왕들을 보면 강조점이 무엇입니까? 바로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했다는 사실입니다. 이들이 통치하는 나라는 계속해서 전쟁과 침략이 일어나고 모반과 배신이 일어납니다.
브가히야는 이스라엘은 2년 동안 다스렸는데 이 역시 여로보암의 죄를 떠나지 않고 계속 범하다가 이제 베가의 반역에 의해서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어 베가가 왕이 되었지만, 이 역시 여로보암의 죄를 떠나지 않고 20년을 통치합니다. 그의 통치기간 동안 앗수르 왕이었던 디글랏 빌레셋의 침략을 받고 앗수르로 잡혀가는 수모를 겼었습니다
이 베가는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반역을 일으켜 그를 죽이고 이어서 왕이됨으로써 그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북이스라엘 왕들의 공통된 모습은 그의 삶가운데 죄의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죄를 회개하지 않으면 죄의 문제는 계속 유지 되어집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 삶에 쌓이기 시작하면 죄의 양상도 다양해지고, 그 죄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 역시 무감각해지기 시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죄를 죄로 여기지 않고, 무엇이 옳은 일인지 잘못된 일인지 살피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죄의 일관된 모습은 하나님을 떠나 우상을 섬기며 탐욕과 권력을 쫓아가는 모습입니다. 이들의 모습을 보면 잠시 성공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말씀을 떠나 내 욕심과 내가 하고 싶은 대로 따랐더니 일이 잘풀리고 잘 되어가는 것 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모든 죄의 길을 결국 심판에 이르게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만약 지금 내 사람에 회개하지 않고 숨겨둔 죄가 있다면 그 죄는 내가 생각도 하지 못한 순간에 점점 커져가고 있을것입니다. 내 안에 깊숙히 자리잡아서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인정하지 못하고, 나 자신을 믿으며 살아가게 하는 것입니다.
어느덧 하나님이 아니 세상을 쫓아 가며 물질과 성공이라는 우상의 겉모습에 현혹되어 버리게 됩니다.
죄의 문제가 해결되어야만 하나님의 백성으로써 하나님의 모습을 닮아갈 수 있습니다. 세상의 권력을 쫒지아니하고 오직 주님의 길을 걸어 갈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의 이스라엘 3명의 왕과 대조되는 왕으로 유다의 요담왕이 등장합니다. 그는 그의 아버지 웃시야의 길을 따라 여호와 보시기에 올바르게 행동했습니다.
그러나 산당들을 없애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백성들이 여전히 산당에서 제사와 분향을 하도록 두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요담의 이와 같은 단점이 있지만 그는 하나님 앞에서 정직히 행하는 자였습니다. 모든 인간들은 하나님 앞에서 완전하게 행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최선을 다해서 그분의 말씀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며 정직히 행하여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할 때 하나님은 우리를 기뻐하십니다. 우리가 끝까지 신앙의 초심을 일지 않고 믿음의 길을 걸어갈 때 하나님은 풍성한 삶을 누리게 하십니다.
우리는 비록 내 삶에 완전하지는 못해도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기 위해서 늘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자신의 초심을 끝까지 지키며 순종했던 요담처럼, 우리가 지금 다시 기억하고 지켜 나가야 할 우리의 초심이 무엇인지 다시한번 생각해보길 원합니다.
하나님을 처음 만났던 그 마음.. 그리고 주님의 길로 걷는 길이 평안하고 행복했던 그 때!!
바로 그 시기를 기억하며,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모습으로 살기 위해 늘 기도하며 힘쓰는 믿음의 백성들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