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설교
Sermon • Submitted • Presented
0 ratings
· 4 viewsNotes
Transcript
1.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passage? (Include clear breaks and verses.) What does the structure tell you about the state the emphasis of the passage (in one short sentence).
친한 친구를 칭찬하다가(2:19-30) 갑자기 위험한 개를 비난하는 것으로 전환합니다. 3:2-21을 잘라내면 3:1에서 4:1로 부드럽게 전환됩니다. "마침내 기뻐하라"(3:1)에서 4:1-3의 부드러운 말과 개인적인 호소가 이어지면서 서신은 같은 궤적과 같은 어조로 유지됩니다. "마침내 기뻐하라!"라는 결론에서 저주("저 개들을 조심하라!")로의 전환은 담론의 흐름에 충격적인 단절을 가져옵니다.
2. What is the context? (Include the immediate literary, wider biblical context and any clues on historical context.)
바울은 신학적 성찰을 자신의 개인적인 공개에 엮어냅니다. 그는 율법에 근거한 자신의 의 성취를 믿음에 근거한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의와 대조하고,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부르신 하늘의 상을 얻기 위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을 설명하며, 모든 것을 자신의 통제하에 둘 수 있는 능력으로 우리의 낮은 몸을 변화시켜 자신의 영광스러운 몸과 같이 되게 하실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간절한 기대를 표현합니다. 다시 말해, 바울은 칭의, 성화, 영화 등 구원의 전 과정을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의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그의 모든 경험은 그리스도 안에 중심을 두고 있습니다. 그리스도는 바울 신학의 중심입니다.
3. What is the theme, main point or bottom line? (This is the author’s main idea briefly stated in a single simple indicative sentence.)
4. What is the author’s aim? (This is the main application, briefly stated in an imperative sentence. Be ready to show from where in the text you are deriving the aim.)
5. How does the text relate to the gospel of Christ? Which aspect of the gospel does it connect to the most?
6. What is a subject question, or a primary image, that might frame the message? (This is particularly helpful in introducing a message and bringing simplicity to the preaching outline. Don’t use every time.)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반대하는 자들, 즉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개와 원수는 누구인가? 이 장은 보간된 단편인가? 바울은 어떻게 자신을 흠이 없는 사람으로 볼 수 있었을까?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말은 그리스도의 신실함을 의미합니까, 아니면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들의 믿음을 의미합니까? 이 장과 다른 많은 당혹스러운 질문들이 이 장을 읽으면서 우리에게 도전을 줍니다.
7. What are the modern objections to this teaching? What are the ‘defeater beliefs’ that should be addressed?
8. What main cultural narrative might this interact with? Does it subvert? Enter in?
9. How might this be taught to the heart – and not merely the head?
바로 앞 문맥에서 같은 것에 대한 가장 가까운 기준점은 주 안에서 기뻐하라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은 기뻐하라는 유사한 명령(2:17-18, 29, 그리고 나중에 4:4)을 반복하기 때문에, 바울은 "주저하지 말고"라는 표현에서 복수를 사용하여(같은 것을 쓰는 것을 주저하지 말고) 기뻐하라는 명령의 반복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이 명령을 반복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의 문화적 맥락에서 볼 때, 기뻐하라는 반복적인 호소는 친구란 다른 사람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는 사람이라는 그의 우정 사랑을 단호하게 보여줍니다. 바울은 주님을 추가함으로써 기쁨의 의미와 경험을 확장합니다. 주님은 기쁨의 원천이자 대상이며 영역입니다. 이러한 신학적인 동기를 가진 주님 안에서의 기쁨은 로마 감옥과 로마 식민지에서 그리스도를 위해 살면서 겪는 모든 슬픔과 고통을 현실적으로 직시하고 초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신학적 기쁨의 지향이 기쁨의 사회적 차원을 최소화하지는 않습니다. 주님 안에서의 기쁨은 공동체의 경험이자 공동체의 축제입니다. 바울은 빌립보 교인들에게 에바브로디도를 고향으로 돌려보내서 그들이 그를 보고 기뻐할 수 있도록 하고(2:28), 주 안에서 큰 기쁨으로 그를 환영해 달라고 간청했습니다(2:29). 이제 그는 이 명령을 반복합니다: 내 형제자매 여러분, 주 안에서 더욱 기뻐하십시오(3:1). 주님 안에서의 기쁨은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줍니다
10. How would you preach this text? (What is your sermon outline? Sermon Title? Include a main teaching or didactic point for each of your subheadings)
AD 61-63
1) 기쁨의 중요성
기쁨이라는 단어가 10번 이상 (명사형 동사형)
2) 성도간의 교제와 연합의 중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