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준비하라
Notes
Transcript
미래를 어떻게 준비 할 것인가?
미래를 어떻게 준비 할 것인가?
에너지를 둘러싼 치열한 생존 게임이 있을 것이다.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의 대표적인 에
너지는 석유다. 그런데 세계를 지배하는 석유 메이저
의 대표들도 공공연히 에너지 고갈에 대해 이야기하
국가, 기업 심지어 개인의 번영과 안보는 에너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의 대표적인 에너지는 석유다. 그런데 세계를 지배하는 석유 메이저의 대표들도 공공연히 에너지 고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현재의 생산 및 소비성향, 기술발전 속도를 감안할 때 2040년이면 석유에너지가 고갈될 것이다.
고 있다. 현재의 생산 및 소비성향, 기술발전 속도를
감안할 때 2040년이면 석유에너지가 고갈될 것이다.
현재의 소비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석유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를 찾아야 한다. 몇년 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장관도“석기시대가 끝난 것은 돌이 부족해서가 아니었다. 석유시대도 석유가 고갈되기 이전에 끝이 날 것이다”라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수소에너지, 나노에너지와 같은 혁신기술을 통해 대체 에너지원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를 찾아야 한다. 몇
2. 혁신경제시대를 지배할 부의 물결
년 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장관도“석기시대가 끝난
경제는 더 이상 기업, 자본, 재능, 인구, 천연자원등에 기초해서만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혁신이라는 요소가 더해져 발전하게 된다. 여기서‘혁신’이란 국가, 지방, 산업, 기업, 개인 혹은 그 밖의 집단이 이미 확보한 경쟁 우위를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새로운 아이디어, 상품, 서비스, 그리고 공정을 말한다.
것은 돌이 부족해서가 아니었다. 석유시대도 석유가
등에 기초해서만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혁신이라는
혁신의 구체적인 사례로 공급 체인을 들 수 있다. 오늘날 공급 체인의 대부분은 금융, 유통, 생산, 수송 등의 분야를 총괄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공급 체인은 혁신기술의 출현으로 상품의 창조자, 제조업체, 유통업체, 판매업체를 한곳으로 묶어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3. 미래의 인재 전쟁
4. 최강의 생존력을 보장하는 21세기 장수의학
5. 미래 기후와 환경
6. 세계화로 인한 문화 대충돌
7. 숨막히는 미래 안보
8. 무시무시한 과학이 온다.
모든 혁신의 중심에 과학이 있다. 과학에는 기회와 위험 요소가 동시에 존재한다. 과학은 인류의 생존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생활조건을 크게 개선시켰다. 그러나 우리가 미래세계로 들어가면 이러한 과학이 우리의 인권을 탄압, 제한, 검열하고 심지어 인권을 완전히 빼앗는 도구로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우리는 과학발전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하고 결코 눈을 떼지 말아야 한다.
위험 요소가 동시에 존재한다. 과학은 인류의 생존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생활조
건을 크게 개선시켰다. 그러나 우리가 미래세계로 들
어가면 이러한 과학이 우리의 인권을 탄압, 제한, 검
열하고 심지어 인권을 완전히 빼앗는 도구로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우리는 과학발전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하고 결코 눈을 떼지 말아야 한다.
다른 분야보다 급격한 변화를 유발할 분야가 바로 과학이다. 극단적 미래의 과학은 터무니없어 보일 정도로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빠른 속도로 밀려오고 있다.
과학이다. 극단적 미래의 과학은 터무니없어 보일 정
9. 인간대 인간, 그 보이지 않는 전쟁
도로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빠른 속도로 밀려오고
10. 춤추는 용, 중국의 미래
있다.
앞으로 몇 년 동안 20억 중국인구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고 그 결과 시장, 경쟁, 무역구도는 우리가 상상 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규모로 바뀔 것이다. 수조 달러의 부가 서방세계에서 동방세계로 움직일 것이다. 불과 20년도 안 되는 기간에 중국 4억 인구의 생활수준은 크게 개선되었다. 중국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은 이 기간 동안 4배 상승했고, 그 결과 이들은 비참한 빈곤의 바닥에서 기어올라 경제 사다리의 다음 단계로 올라설 수 있게 되었다. 혁신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고 미래에도 중국경제 번영의 동력이 될 것이다. 선진국 경제가 연간 3~4퍼센트씩 성장하고 있는 동안, 중국경제는 10퍼센트씩 성장해오고 있다.
게 되고 그 결과 시장, 경쟁, 무역구도는 우리가 상상
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규모로 바뀔 것이다. 수조 달러
의 부가 서방세계에서 동방세계로 움직일 것이다.
불과 20년도 안 되는 기간에 중국 4억 인구의 생활
수준은 크게 개선되었다. 중국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
은 이 기간 동안 4배 상승했고, 그 결과 이들은 비참
한 빈곤의 바닥에서 기어올라 경제 사다리의 다음 단
계로 올라설 수 있게 되었다. 혁신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고 미래에도 중국경제 번영의 동력이 될 것
이다. 선진국 경제가 연간 3~4퍼센트씩 성장하고 있
는 동안, 중국경제는 10퍼센트씩 성장해오고 있다.
요소가 더해져 발전하게 된다. 여기서‘혁신’이란 국
고갈되기 이전에 끝이 날 것이다”라고 지적하였다. 우
오늘날 공급 체인의 대부분은 금융, 유통, 생산, 수송
등의 분야를 총괄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공
가, 지방, 산업, 기업, 개인 혹은 그 밖의 집단이 이미
리는 수소에너지, 나노에너지와 같은 혁신기술을 통
해 대체 에너지원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급 체인은 혁신기술의 출현으로 상품의 창조자, 제조
확보한 경쟁 우위를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새
업체, 유통업체, 판매업체를 한곳으로 묶어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