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04 SEEIT 청년선교사연합예배 (고후10:3-6) '세계관 전쟁'

Sermon  •  Submitted
0 ratings
· 19 views
Notes
Transcript

본문

고린도후서 10:3–6 NKRV
3 우리가 육신으로 행하나 육신에 따라 싸우지 아니하노니 4 우리의 싸우는 무기는 육신에 속한 것이 아니요 오직 어떤 견고한 진도 무너뜨리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모든 이론을 무너뜨리며 5 하나님 아는 것을 대적하여 높아진 것을 다 무너뜨리고 모든 생각을 사로잡아 그리스도에게 복종하게 하니 6 너희의 복종이 온전하게 될 때에 모든 복종하지 않는 것을 벌하려고 준비하는 중에 있노라

서론

ㅇ 본문과 관련있는 예화 혹은 성경이야기

ㅁ 세계관은 무엇인가?

세계관에 대한 기독교철학자들의 몇 가지 개념 정의들을 검토해보자. 니콜라스 월터스톨프(N. Wolterstorff)는 세계관을 “스스로 부여한 가치와 결합된, 인생과 세계에 관한 사고방식”으로 정의했고, 그는 만일 어떤 사회를 제대로 파악하고자 한다면 그 사회를 구성하는 세계관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제임스 사이어(J. Sire)는 세계관을 “이 세계의 근본적 구성에 대해 우리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일관적이든 비일관적이든) 견지하고 있는 일련의 전제(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옳거나, 아니면 전적으로 틀릴 수도 있는 가정)들”이라고 정의하였다.

브라이언 왈쉬와 리차드 미들톤(B. J. Walsh & J. R. Middleton)은 세계관을 ‘인식의 틀’, ‘보는 방식’으로 표현하면서, 세계관이란 신학이나 철학과 같은 사고체계가 아니므로 그것을 학문과 구별하였고, 세계관은 일상의 삶에서 육화되어 표현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알버트 월터스(A. M. Wolters)는 세계와 인생관, 삶의 관점, 고백적 비전, 원리들 혹은 이념들의 총체, 이데올로기, 가치체계 등으로 표현되어 온 관련 용어들과 간단히 비교한 후, 세계관이란 “사물들에 대한, 한 인간의 기본적 신념들의 포괄적인 틀”이라고 정의하였다.그리고 베니 판델발트(B. J. van der Walt)는 세계관을 “인간행동의 기초가 되며, 구체적인 행동을 형성하고, 동기부여하며, 방향과 의미를 부여하는, 실재에 관한 통전적이고 해석적인 일련의 고백적 관점들”이라고 정의하였다.

세계관은 각 개인 및 공동체가 집착하는 종교, 신념, 각종 신념체계인 “-주의”(-主義, -ism)의 형태로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표현해본다면 세계관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등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형태로, 혹은 자본주의와 개인주의와 쾌락주의와 세속주의와 무신론 등의 인본주의 형태로, 그리고 합리주의와 실존주의와 실용주의와 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등의 사상적 형태로 존재한다.

이상에서 요약적으로 정리한 바, 세계관의 본질과 특성과 기능에 비추어 볼 때 세계관은 종교, 문화, 철학, 학문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베니 판델발트의 설명에 따르면 종교, 세계관, 철학, 그리고 학문은 서로 깊은 유기적 연관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구별될 수 있는 ‘수준들(levels)’로 이루어져 있다. 그 수준들은 가장 근본차원인 종교에서 세계관으로, 그리고 (학문)철학으로, 그 후 개별학문으로 진행된다. 그래서 나무에 비교한다면 종교가 뿌리이고, 세계관은 줄기이며, (학문)철학은 가지이고, 잎과 열매는 개별학문으로서 모두 한 나무로서의 통일성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문화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인본주의와 이원론을 비판하면서 기독교세계관 연구와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집착하는 기독교세계관유형은 네 번째 유형(gratia in naturam 혹은 gratia naturam transformans)이다. 이 유형의 기독교세계관 지지자들은 종교개혁자들의 정신에 따라 성경적 관점에 철저하고자 한다는 의미에서 자신들의 세계관을 “개혁적 세계관” 또는 “성경적 세계관”으로, 또 이원론적 세계관들과 구별시킨다는 의미에서 ‘통전적 세계관’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 유형의 기독교 세계관은 성경적 관점에 따라 ‘창조-타락-구속’ 혹은 ‘창조-타락-구속-완성’의 카테고리를 창조세계 전체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그리고 일관성 있게 적용한다. 그 카테고리의 의미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은 온 우주와 만물을 하나님의 말씀(법)으로 선하게 창조하셨고,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의 법에 순종하여 창조세계를 발전시키며 돌보게 하셨다. 창조세계는 하나의 왕국이었다.
둘째, 인간은 하나님께 불순종하여 창조주와 멀어졌고, 결과적으로 죄와 사단의 노예가 되어 하나님의 심판과 죽음에 복속되었다. 그 결과 창조세계도 허망한 데 복속되어 해방을 갈구하게 되었다. 타락으로 하나님의 세계는 세상, 곧 어둠의 왕국이 되었다.
셋째,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통하여 인간은 죄와 사망의 속박에서 해방되었고, 성령의 능력으로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빛과 어두움의 두 왕국이 하나의 세계에서 모든 영역에 걸쳐 겹쳐 존재하고 서로 투쟁하게 되었다.
넷째,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죄와 사단은 최종적 심판을 받게 되고, 그 영향력이 종결되며, 결국 그리스도인들은 새롭게 재창조된 세상을 상속하게 된다. 세계는 하나님이 통치하시는 온전한 하나의 왕국으로 존재한다.
이 카테고리에서 창조는 창조세계의 모든 것을 포괄하고 있다. 타락은 창조세계 전체를 오염시켰다. 그리고 구속과 완성으로 그리스도께서 창조세계 전체를 회복시킨다. 따라서 개혁적 기독교세계관은 우주 전체가 하나님의 나라이며, 그리스도는 전체 세계를 통치하시는 왕이 되신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독교세계관을 근본적이고, 전체적이며, 통전적인 세계관이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기독교세계관은 그리스도인들에게, 구속의 회복사역에 동참하여 완성에 이르기까지 창조세계 전반에서 하나님 나라 건설의 비전을 구체화시키도록 제자도의 실천을 요청한다.

본론

ㅇ 주제와 관련 있는 문제제기 (원인과 결과)

ㅇ 해결방법

기독교세계관 형성을 위한: 기독교학교교육의 역사와 철학 5) 나가면서 > 1. 기독교세계관과 교육철학

제대로 반성되지 않은 수많은 인본주의적 세계관과 개인적 관심과 가치들을 절충한 교육적 신념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하여 체계화된 근본적 통찰이, 교육의 이유와 목표가 되고, 더 나아가 교육의 전 과정이 하나님의 법에 순종하고 그 법의 의의를 개현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만

ㅁ 하나님의 법도 안에서 살아야 한다

ㅇ 나타난 결과

결론

ㅇ 핵심내용 정리

ㅇ 결단할 내용

Related Media
See more
Related Sermons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