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약한 믿음에서 언약을 세우시고 이루시는 하나님 (창 17:15-27)

Genesis   •  Sermon  •  Submitted
0 ratings
· 46 views
Notes
Transcript
Sermon Tone Analysis
A
D
F
J
S
Emotion
A
C
T
Language
O
C
E
A
E
Social
View more →

배경설명

- 17장의 이전 본문에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13년 만에 나타나셔서 언약을 재확인 하신다.
- 특히, 이 언약이 아브라함의 후손들을 통해 대대로 이어질 것이며, 그들에게 이 땅이 기업으로 주어 영원한 기업이 되게 하고, 하나님께서 그들의 하나님이 되시겠다고 약속하신다.
- 그리고 이 언약의 표로서 모든 남자들은 할례를 행해야 한다고 강조하신다.
- 이 언약은 사실 창세기 15장에서 세워진 것이다.
<< 창 15:18 “그 날에 여호와께서 아브람과 더불어 언약을 세워 이르시되 내가 이 땅을 애굽 강에서부터 그 큰 강 유브라데까지 네 자손에게 주노니”

본문 소개 및 설명

- 사래의 이름 >> 사라 (15) 여러 민족의 어머니가 될 것이다 (16)
- 아브라함의 반응
- (17-18) 믿음 없는 반응 / 웃음 “이스마엘이나 하나님 앞에 살기를 원하나이다”
- 사실 하나님께서 이미 예전에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셨었다 (15장)
<< 창 15:4 “여호와의 말씀이 그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그 사람이 네 상속자가 아니라 네 몸에서 날자가 네 상속자가 되리라”
<< 창 15:6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시고”
- 그 때는 아브라함이 믿었다! 그래서 하나님이 그 믿음을 보시고 아브라함을 의롭다고 여기셨다.
-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그 믿음이 약해진 것!
- 하나님의 확언 (19-22)
- 아니다! 네 아내 사라가 아들을 낳을 것이다. 그 이름을 이삭이라고 하라.
- 내가 이삭과 언약을 세우고 그의 후손에게 영원한 언약이 될 것이다. 이스마엘도 내가 복을 주겠지만, 내가 그와 언약을 맺지는 않을 것이다.
- 21절에서 다시 명확하게 말씀하신다 “내년 이 시기에 사라가 낳을 이삭과 내가 언약을 맺을 것이다”
- 그리고 하나님이 말씀을 마치시고 떠나가셨다.
- 아브라함은 어제 본문에서 하나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집의 모든 남자들을 데려다가 할례를 행한다.

이삭을 통해 언약을 세우시려는 하나님

- 오늘 본문의 핵심은 하나님께서 다른 이가 아니라 이삭과 언약을 맺으시겠다는 것이다.
- 그런데 이삭이란 이름의 뜻이 중요하다. “웃음”이란 뜻이다.
- 왜냐하면,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이 계획을 말했을 때, 아브라함이 웃었기 때문이다.
- 긍정적인 의미의 웃음이 아니라 믿음이 없어서 나오는 웃음이었다.
- 18장에서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도 똑같은 반응을 보인다. 천사들이 아들이 낳게 될 것이라고 했을 때, 사라도 웃는다!
- 아브라함도 웃었고, 사라도 웃었다.
- 그래서 하나님이 이름을 이삭이라고 지어주신 것이다.
- 그들의 불신앙을 지적하는 것일 수도 있고, 약간은 유머스럽게 그들을 놀리는 의미도 있을 수 있다.

아브라함의 연약함 >> 우리의 연약함

- 본문에서 아브라함의 모습처럼 믿음 없는 모습이 우리에게 있다.
- 시간이 지나면서, 현실의 상황에 익숙해져서 하나님이 우리에게 분명하게 이미 주신 약속을 놓치고 산다.
- 주일예배를 통해서 은혜를 받고, 하나님이 함께 하실 것이라는 확신가지고 예배당을 나서지만, 평일의 삶 속에서 다시 믿음이 약해진다.
- 우리의 연약함입니다.

연약한 믿음에도 언약을 성취하시는 하나님

- 오늘 본문의 핵심은 이삭을 통해 언약을 세우시려는 하나님이라고 말씀드렸다.
- 이삭은 아브라함의 연약한 믿음을 드러내는 이름이다.
- 아브라함이 아주 신실한 사람이 아니다. 아브라함은 일관적으로 믿음이 없었다.
- 15장에서 언약을 맺고, 자손의 약속을 받는다.
- 하지만 16장을 보면, 믿음이 없어서 여종 하갈을 통해 이스마엘을 낳는다.
- 13년 동안 하나님과 멀어져서 지내다가, 하나님이 나타나셔서 다시 한번 약속의 말씀을 주셨는데 오늘 본문에서 그냥 웃어버린다.
- 18장에 보면, 아내 사라도 웃어버린다.
- 20장을 보면 아비멜렉 왕에게 아내를 넘겨버리는 어리석음을 또 한번 보여준다.
- 그리고 바로 다음장 (21장)에서 사라를 통해 아들 이삭을 얻는다.
<< 21:1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사라를 돌보셨고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사라에게 행하셨으므로”
<< 21:2 “사라가 임신하고 하나님이 말씀하신 시기가 되어 노년의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낳으니”
<< 21:3 “아브라함이 그에게 태어난 아들 곧 사라가 자기에게 낳은 아들을 이름하여 이삭이라 하였고”
<< 21:4 “그 아들 이삭이 난 지 팔 일 만에 그가 하나님이 명령하신 대로 할례를 행하였더라”
- “하나님이 말씀하신대로”
- 아브라함이 믿음이 좋은 사람이여서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시고, 아들 이삭을 주셔서 그 후손을 통해 예수님을 보내셔서 하나님 나라를 이루신 것이 아니다.
- 아브라함을 일관적으로 연약했다. 오늘 본문이 그것을 보여준다. 아브라함의 믿음 없음!
- 하나님은 그 아들의 이름을 이삭이라고 이름 지으시고, 그 이삭을 통해 언약을 이어가신다.
- 이 말은, 연약한 믿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언약을 성취하신다는 것이다.
- 하나님이 말씀하셨기 때문에! 약속하셨기 때문에! 그 약속을 지키시고 성취하신다.
- 우리의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 이것이 하나님의 신실하심이다!

적용 및 결론

- 하나님은 우리에게 언제나 믿음을 요구하신다. 그런데 우리는 항상 그 요구를 충족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 하신다. 약속을 지키신다.
- EX: 믿음으로 물위를 걷는 베드로 >> 믿음이 약해져서 물에 빠진 베드로 >> 그럼에도 베드로를 붙잡아 주신 예수님
- 오늘 본문을 통해서 이것을 기억하면 좋겠다.
-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우리의 연약한 믿음을 덮는다.
- 우리가 일관적으로 연약할지라도 하나님은 일관적으로 신실하시다.
-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고 이루지고자 하는 것은 반드시 이루신다.
- 그 과정에서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끊임없이 경험하면서 우리의 믿음이 자라는 것이다. 은혜로!
- 아브라함은 나중에 믿음이 많이 자란다. 그래서 이삭을 하나님께 바치려는 믿음을 보여드리기도 한다.
- 아브라함은 평생 이삭을 보면서 이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 “내가 그 때는 정말 연약했지. 정말로 믿음이 없었지. 하나님의 말씀에도 그냥 웃어버리고 말았었지”
- “그럼에도 하나님은 그 약속을 끝까지 지키시고, 이 아들을 주시고, 많은 은혜와 복을 주셨다”고 고백할 것이다.
- 우리도 지금은 연약할 수도 있다. 물론 하나님 앞에서 완전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우리의 마땅한 자세!
- 하지만 오늘 본문을 통해서 또 하나 배우는 것은, 우리가 연약할 때에도 하나님은 신실하시고, 하나님은 그 과정을 통해 우리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경험하길 원하신다는 것이다.
- 그 때,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계속 겸손할 것이고, 우리의 성장의 모든 공로를 주님께 돌리며 주님께 모든 영광을 올려드릴 것이다.
Related Media
See more
Related Sermons
See more
Earn an accredited degree from Redemption Seminary with Logos.